2019. 1. 2. 04:48ㆍ▶게임----------
조잡한 그림 죄송합니다. ㅡ.ㅡ 확대해서 봐주세요.
이 글에서 사용된 출발신호기 / 폐색신호기는 OPENTTD 의 용어가 아닌 실제 철도에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.
나중에 설명할 기회를 가지겠습니다.
이 글에 사용된 OPENTTD의 신호기는 프로그래밍 신호기, 출구 신호기, (일방통행)경로 신호기입니다.
1.
OPENTTD JGR 0.26.1버전이구요, 프로그래밍 신호기는 이미 이전부터 구현은 되어 있었지만
일단 논리 짜는거나 여러가지 귀찮음 등으로 만져볼 일은 잘 없었습니다.
그러다가 갑자기 3현시 5현시 신호를 OPENTTD에서 구현해 보고 싶어서 검색을 했는데 당연히 나오진 않고
대신 3현시 대신에 2-Block-Free를 구현해보면 어떨까 싶어서 생각을 해본 결과입니다.
2.
일단 신호기 배치는
(진행 방향 --->) 프로그래밍 신호기 - 출구 신호기 순으로 배치합니다. 중간에 빈칸이 없어야 합니다.
이를 여러 개 배치한 다음에 조건문을 삽입하고(조건문 종료 - 삽입 - 조건문)
위 사진과 같이 설정을 해 주시면 됩니다.
주의할 점은 조건문을 1개만 배치하면 조건을 받는 출구 신호기를 1개만 사용할 수 있어서 1-Block-Free가 되어 의미가 없어지므로
조건문을 중첩시켜 다음 폐색의 출구 신호기도 포함시킵니다.
두 출구 신호기가 모두 녹색을 현시하면 2 폐색이 모두 비어 있는 것이므로 해당 프로그래밍 신호기는 녹색을 현시하게 되고
만약 한 출구 신호기라도 녹색이 아니라면 해당 구간은 점유중이므로 프로그래밍 신호기는 적색을 현시합니다.
조건문을 3번 이상 중첩시키면 3폐색 이상을 열차를 비워둘 수 있게 됩니다.
3.
다만, 신호기 위치를 지정하는 것이 노가다가 필요한 단점이 있고( 2-Block-Free일 경우 신호기당 2번씩이지만, 신호기는 매우 많이 설치하게 되므로...)
잘 짜여지지 않은 출구 신호기는 정거장에서 좀 골치아픈 일을 만드므로 폐색 신호기에만 적용하였습니다.
정거장에서 출발하는 열차에 대해 간격을 유지하려면 그냥 출발신호기(경로신호기)와 다음 폐색신호기를 멀리 떨어트리면 됩니다.
정거장에 진입하려는 열차에 대해서는.. 좀 골치가 아픕니다만, 그냥 해당 방법을 적용하지 않는 식으로 해결합니다...
'▶게임----------' 카테고리의 다른 글
(시티즈 스카이라인) 너무 슬프게도 사실적인 장면 (0) | 2018.11.10 |
---|---|
웬 성과가.. (0) | 2018.03.03 |
시티즈 (0) | 2018.02.0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