:: H1311

:: H1311

  • 전체 보기 (112)
    • ▶알림 (2)
    • ▼철도---------- (48)
      • 일 (2)
      • 길 (22)
      • 취미 (23)
      • 도감 (1)
    • ▼여행---------- (22)
      • 2012.07 미국 동부 (7)
      • 2016.06 내일로 (9)
      • 2017.02 내일로 (6)
    • ▶사진 한 장 (23)
    • ▶내 이야기 (12)
    • ▶게임---------- (4)
  • 블로그홈
RSS 피드
로그인
로그아웃 글쓰기 관리

:: H1311

컨텐츠 검색

태그

ITX-새마을 1x50 황간역 경부선 KTX산천 온수역 청라국제도시 8073 전의-전동 검암-운서 7500 무궁화호 경인선 새마을호 까치울역 경의선 강남대역 도계역 1x83 #3353

최근글

댓글

공지사항

  • 본 블로그 저작물 이용에 관하여

아카이브

▼철도----------(48)

  • (국토교통부) 노면전차(트램) 시설 설계 가이드라인

    2020.08.26
  • GIS를 이용한 덕질

    2019.07.29
  • 속도계

    2019.04.29
  • 2번째 결과는?

    2019.03.08
  • 결과는?

    2018.10.04
  • 4호선 EBRS RMS ES?

    2018.09.30
(국토교통부) 노면전차(트램) 시설 설계 가이드라인

어제 자(2020.08.25.)로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(대광위)에서 노면전차 시설 설계 가이드라인이 배포되었습니다. 아직 다 안읽어봐서 뭐라 평가를 할 그건 안되고요, 다만 큰 구성은 철도 설계하는 지침과 유사하게 흘러갑니다만 도로교통과 같은 공간을 사용하는 교통수단이다보니 횡단구성, 보행자 시설 배치, 교통안전 등 기존 교통공학에서 다루던 주제를 언급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. 여기서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.

2020. 8. 26. 09:46
GIS를 이용한 덕질

GIS를 요즘 만지작만지작 하다가 재미있는 짓을 좀 해봤습니다. 성취감(?)이 느껴지네요. (고향은.. 인천인데 인천이 텅 비어있습니다.. 반성 반성) 음.. 그리고 앞으로 "철도/길" 카테고리에는 당분간 글을 쓰지 않을 예정입니다. 조금 다른 일을 하고 있기에 좀 늦게 준비를 할 예정입니다. 자료는 국가교통DB KTDB에서 GIS DB를 공개청구 하시면 받을 수 있습니다. 다만, 기준년도가 2017년이므로 신규개통 노선은 내년을 기다리시든지 직접 그리시든지 하시면 됩니다.

2019. 7. 29. 19:38
속도계

시험기간엔.. 공부 빼고 다 재밌습니다 ㅎㅎ 난 망했다 위는 ATC 구간 속도계 겸 차내신호기인 ADU이고 아래는 ATS구간에서 사용되는 속도계와 MR(주공기통), BC(제동통) 공기압력계입니다. 저 ATC 시스템은 3,4,분당선에서 사용하는 것이고, 100km/h까지는 속도코드가 존재하여 이론상, 그리고 실제로도 ATC구간에서 선로에 100km/h에 해당하는 코드가 존재할 때는 100km/h 주행이 가능합니다. 60은 감속, 40은 주의, 25는 경계신호에 해당하며 지적확인환호도 '60 감속', '40 주의' 이런식으로 하게 되어 있습니다. 15km/h는 따로 신호가 있는 것이 아니고 ATC구간에서 정지신호일 때 차량이 정차한 후 현시되는 '정지 후 진행'모드로 쉽게 말해서 정지신호입니다. 물론 두 속..

2019. 4. 29. 22:54
2번째 결과는?

삼수 당첨! (그와중에 "귀하를 포함한 많은 지원자께서 코레일 하반기 신입사원 모집에 응시하였으나," ...) 학교 아직 반 넘게 남았으니 갈곳 없는 그런 고민은 없다는게 다행

2019. 3. 8. 14:10
결과는?

학생은 학교나 다닙시다

2018. 10. 4. 14:20
4호선 EBRS RMS ES?

1.전기동차 구조 및 기능은 웬만한 단원이 다 어려운데용어, 결선도 : 경험자나 철덕 아니면 모든 것을 전부 정확히 개념잡기엔 시간이 모자른 감이 없지 않아 있음특고압장치 : 처음 배우고, 기기도 많고, 수치 외워야되고(시간, 전압 등등), 혼자서 분량 반 잡아먹는 MCB(과천선 4호선 다름..)주회로장치 : 웬 운전이론이 앞을 잡아먹고 있고, 교/직류, 역행/회생제동 과천선/4호선 2x2x2 8개의 경우의 수를 모두 외움고압보조장치 : 일단 차종별 SIV 제원이 다르고, CM 회로 다르고(연장급전 ,바이패스 헷갈리고), 연장급전은 결선도가 헷갈림저압보조장치 : 그나마 쉬운 부분이지만 객실등, Lamp, 각종기기 전압에 주의, 뜬금없이 TGIS 물어볼 수도 있음제동장치 : 개인적으로 가장 골때림. 다른 ..

2018. 9. 30. 22:01
1 2 3 4 ··· 8
티스토리
© 2018 TISTORY. All rights reserved.

티스토리툴바